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52

5월 종합 소득세 주택 임대 소득 관련 Q&A (11~20) 11.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절세 방법을 간단히 알려주세요. 첫째, 부부합산 1 주택으로 기준시가 9억 원 이하는 비과세이고 둘째, 부부합산 2 주택(또는 1 주택 기준시가 9억 원 초과) 전세는 과세되지 않습니다. 셋째, 다른 종합소득이 2천만 원 이하일 경우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면세점 기준이 있으며 사업자등록을 한 경우 주택임대소득 연 1,000만 원, 미등록한 경우 주택임대소득 연 400만 원입니다. 2022년도 기준 전세보증금만 보면 8억 5천만 원 이하 구간입니다. 마지막으로 다른 종합소득이 2천만 원 초과한다면 월세를 전세로 전환하여 연 2천만 원 이하 주택임대소득이 되도록 하는 방법도 검토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참고로, 주택임대사업자도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건강보험료가 발생하게 되는데 사.. 2023. 4. 28.
5월 종합 소득세 주택 임대 소득 관련 Q&A (1~10) 1. 주택 임대 소득에 대해 세금을 내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상가임대와 마찬가지로 주택임대소득은 사업소득으로 종합소득 과세 대상입니다. 다만, 주택 임대소득은 아래의 요건을 갖춘 경우 비과세과 분리과세 적용이 가능합니다. 소유 주택수 월세 보증금 비고 부부합산 1주택 비과세 비과세 기준시가 9억원 초과 월세는 과세 부부합산 2주택 과세 부부합산 3주택 일부과세(간주임대료) 소형주택은 주택수에서 제외 소형주택은 전용면적 40제곱미터 이하 이거나 기준시가 2억원이하인 주택을 말합니다. 1인당 연 주택임대수입금액에 따른 과세 방법에는 연 2천만원을 초과시 다른 종합소득과 합산 신고하며 세율은 6~45%입니다. 연 2천만원 이하 일때는 종합소득 합산신과와 분리과세(세율 14%) 신고 중 선택이 가능합니다. 2... 2023. 4. 28.
2023 기초 연금 대상 기준(현금, 재산, 소득 기준), 40만원 신청 방법 2023년 기초연금이 변경되었습니다. 기초연금은 65세 이상 어르신의 노후생활을 돕고 혜택을 공평하게 나누기 위해 국가가 급여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평가해 합산한 금액을 선정기준액으로 정하여 선정기준액을 정하였습니다. 기초연금을 받기 위해 현금이나, 재산, 소득이 얼마정도 돼야 하는지 설명하겠습니다. 23년도 선정기준액이 공표되었는데 전년대비 대폭 증가했습니다. 단독가구 321,950원 부부가구는 515,120으로 올랐습니다. 소득인정액을 계산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현금, 재산, 그리고 소득입니다. "현금만" 그 중에서 현금만 있다고 가정해 보고 계산해 보겠습니다. 먼저 단독가구의 경우 현금액이 6억 2천6백만 원까지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6천2백만 원을 소득.. 2023. 4. 27.
5월 종합 소득세, 똑똑한 절세 방법 자료준비 첫째로 누락된 영수증을 찾아봐야 합니다. 요즘은 전자시대로 대부분 카드를 많이 쓰기 때문에 자동으로 반영이 됩니다. 국세청에바로 내역이 들어가기 때문에 옛날처럼 영수증을 찾아서 세무사에게 줄 필요가 많이 없어졌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누락되는 것이 많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퀵으로 물건을 전달하고 받을 때 3만 원짜리 영수증을 종이로 주고 가는 경우가 많은데 잘 챙기지 못하면 비용처리를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둘째 부가세 신고 시 신용카드를 사업용으로 등록 안 한 카드가 있다면 이런 카드들은 카드 내역을 따로 챙겨주시면 좋습니다. 월세, 관리비 준 것에 대해 세금계산서를 못 받는 사업장이 많습니다. 월세임대차 계약서와 통장에서 돈 나간 내역을 가지고 비용처리가 가능합니다. 관리비도 .. 2023. 4.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