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3월 1일, 삼일절, 삼일운동

by 나혼산밍키 2024. 2. 29.
반응형

1910년 경술국치

경술년의 국가의 권력을 잃어버린 치욕의 날입니다. 일제는 이 시기 우리의 땅을 강제로 빼앗고 우리 역사와 말을 목 배우게 총과 칼로 지배했습니다. 이렇게 우리 민족이 억압받고 했을 때 세계는 큰 변화의 바람이 일고 있었습니다. 세계가 두 편으로 나누어 전쟁을 했었는데 이 전쟁이 끝나게 된 것입니다. 미국의 윌슨 대통령은 전쟁을 수습하며 '민족자결주의'를 내세웠습니다. 민족결주의란 모든 민족은 그 민족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민족자결주의는 강대국의 지배받던 나라들에게 희망을 안겨 주었고 우리나라에서도 독립에 대한 의지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독립운동에 불씨가 시작된 곳은 일본 동경(도쿄)이었습니다. 1919년 2월 8일 일본인들에게 차별받던 조선인 유학생 600여 명이 2· 8 독립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이 소식은 일제의 분노하던 지식인들과 종교인들에게도 큰 자극이 되었습니다. 독립운동의 방아쇠를 당기게 된 것입니다. 비슷한 시기에 조선에서는 고종황제가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그런데 죽음의 이유가 일제의 의한 독살이라는 것입니다. 이 소문이 퍼지자 일지에 대한 사람들의 분노가 최고조에 달하게 되었습니다. 고종 황제의 장례식을 이틀 앞두고 불교, 기독교, 천도교 대표 33인은 모여서 독립운동 날짜를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바로 3월 일이 독립운동 난로 결정된 것입니다.

1919년 3월 1일

탑골공원에는 사람들이 구름처럼 모여들었습니다. 노인, 아이, 학생, 농민, 상인 모두가 민족대표 33인을 긴장된 표정으로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민족대표 33인은 탑골 공원으로 가지 않았습니다. 그곳에 모인 사람들이 위험해질 수 있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민족대표 33인은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 종로 태화관으로 모임 

장소로 옮겼습니다. 

1919년 3월 1일 종로 태화관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한 영혼이 기미 독립 선언서를 낭독했습니다. 그리고 스스로 일본 경찰에 신고해 잡혀가고 말았습니다. 같은 시각, 수천명이 모인 탑골공원에서 는 민족 대표들이 오지 않자 학생대표 정재용이 팔각정에 올라 독립선언서를 낭독했습니다. 그리고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 모두가 품에 숨겨두었던 태극기를 꺼내 함께 외쳤습니다. 대한 독립 만세! 대한 독립 만세! 만세를 외치는 사람들의 규모는 점점 커졌습니다. 일본의 경찰과 군대가 출동해 칼로 찌르고 총격을 가했습니다. 그렇게 쓰러지는 사람들을 보고 우리 동포들은 더욱 분노하며 더욱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만세 소리가 커질수록 독립도 가까워지는 것만  같았습니다. 3월 1일에 탑골공원에서 시작된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는 평양, 진남포, 안주, 선천, 의주, 원산 등 6개 도시의 만세 시위로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만주, 연해주, 미주 등 전 세계로 국립 운동이 퍼져나갔습니다. 독립운동가로 유명한 유관순도 자신의 고향으로 내려가 아우내 장터에서 만세운동을 이끌었던 사람입니다. 이처럼 전 세계적인 만세 시위는 우리 민족의 뜨거운 독립 의지를 보여줬습니다. 나라를 되찾아야 한다는 바람으로 일제의 탄압에도 포기하지 않고 평화로운 시위를 이어갔습니다. 3·1 운동으로 인해 우리가 바랬던 독립이

결코 쉽게 이루어지지는 않았습니다. 일제는 우리의 요구를 들어 주는 척하며 폭력적인 통치 방식을 멈췄습니다. 하지만 그건 눈속임일 뿐 더욱 가혹한 통치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럼 3·1이 실패한 걸까? 아니 3·1 운동은 독립운동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 주었습니다. 

3·1 운동 그후

첫째. 대대적인 독립운동의 시작
3·1 운동은 독립을 향한 우리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3·1 운동을 시작으로 온 나라 곳곳에서 독립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둘째. 전 세계에 떨친 독립 의지
우리나라의 독립운동은 전 세계에 알려졌고 우리의 독립 의지가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셋째.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3·1 운동 이후 체계적인 독립운동을 위해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수립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우리나라가 광복될 때까지 독립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고 지금 우리 대한민국의 정신적인 뿌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이들이 뜨겁고 치열했던 3·1 운동을 기억하고 정신을 계승하는 날 오늘이 바로 3·1절입니다.

2024.03.01 - [정보] - 독립운동가, 유관순 열사에 대한 이야기

 

독립운동가, 유관순 열사에 대한 이야기

2024.02.29 - [정보] - 3월 1일, 삼일절, 삼일운동 3월 1일, 삼일절, 삼일운동 1910년 경술국치 경술년의 국가의 권력을 잃어버린 치욕의 날입니다. 일제는 이 시기 우리의 땅을 강제로 빼앗고 우리 역사

kmingky300.com

 

반응형

댓글